2025. 4. 21. 22:37ㆍ해외생활 - 유럽
안녕하세요, 밀벨입니다.
2025년 한국 방문을 계획하고 있는 해외방문객이나 외국국적의 재외동포분들을 위해 K-ETA에 관한 중요 정보를 정리해 드립니다.

1. K-ETA란 무엇인가요?
K-ETA(Korea Electronic Travel Authorization)는 한국에 무비자로 입국하려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여행 허가 시스템입니다. 2021년 코로나19 시대에 도입된 이 시스템은 한국 입국 전에 미리 입국 허가를 받는 제도로, 여행객의 기본 정보를 사전에 제출하고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.
K-ETA는 입국 심사 시간을 단축시키고, 불법 체류 가능성이 있는 여행객을 사전에 선별하는 역할을 합니다. 한 번 승인받으면 3년간 유효하며 복수 입국이 가능합니다.
2. 신청대상자는 누가인가요?
- 비자없이 대한민국에 입국하고자 하는 외국인
- 관광, 친지방문, 행사 또는 회의 참석, 상용을 목적으로 단기 체류하고자 하는 사람(영리활동 불가)
- 신청제외(면제)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
3. K-ETA 면제 국가 및 기간 --> 면제 기간 연장, 2025년 12월31일까지!
법무부는 관광산업 활성화 지원방안의 일환으로 2025.12.31까지 아래 22개 국가.지역에 대해서 한시적으로 전자여행허가제(K-ETA) 적용을 면제하기로 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다만, 면제대상 국가 국민이더라도 대한민국 입국시 입국신고서 작성 생략 등 전자여행허가(K-ETA)신청에 따른 혜택을 받기 위해 신청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K-ETA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.


4. K-ETA 면제자도 신청하면 좋은 이유
K-ETA 면제 대상이더라도 자발적으로 K-ETA를 신청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:
- 빠른 입국 심사: K-ETA 승인을 받으면 입국 시 별도의 심사 라인을 이용할 수 있어 대기 시간이 단축됩니다.
- 불확실성 감소: 면제 국가라도 국경 상황에 따라 입국 심사가 까다로워질 수 있는데, K-ETA를 미리 받아두면 이러한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.
- 온라인 여행 정보 접근: K-ETA 앱을 통해 한국 여행 관련 최신 정보와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비상상황 대비: 정치적 상황이나 보건 위기로 입국 정책이 급변할 경우, 이미 K-ETA를 받은 여행객은 우선적으로 처리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
5. K-ETA 신청 방법 및 비용
K-ETA는 공식 웹사이트(Official Korea Electronic Travel Authorization Website, Korea Immigration Service < K-ETA)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신청 비용은 1인당 10,000원(약 7유로)이며, 신용카드나 페이팔 등으로 결제 가능합니다.
신청 시 여권 정보, 방문 목적, 체류 주소, 연락처 등의 정보와 여권 사진 페이지를 업로드해야 합니다. 일반적으로 24시간 내에 승인되지만, 여유를 두고 출발 72시간 전에는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.
주의사항
- K-ETA는 비자가 아니며, 최종 입국 결정은 항상 입국심사관에게 있습니다.
- 승인 후에도 한국 입국 시 출입국 관련 서류(왕복 항공권, 숙소 예약증 등)를 지참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개인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야 하며, 오타나 잘못된 정보로 인해 거부될 수 있습니다.
- K-ETA 메인 홈페이지 자주 묻는 질문 (Frequently asked questions) 을 참고하시면 많은 정보를 보실 수 있어요~ 자주 묻는 질문 < K-ETA 신청 안내 < K-ETA
Welcome - K-ETA
전체 K-ETA 안내 신청 대상 신청 방법 신청 수수료 심사 진행 심사 완료 기타 Q.[Q54] 안면 사진 첨부 시, 히잡을 착용하고 찍은 사진을 올려도 되나요? A종교적인 이유로 착용하는 히잡, 수녀복 등을
www.k-eta.go.kr
2025년 한국 방문이 즐겁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길 바랍니다!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.
'해외생활 - 유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덜란드 전역이 오렌지색으로 물드는, 킹스데이(King's Day) 유래와 즐길거리 소개 (2) | 2025.04.27 |
---|---|
브뤼셀에서 맛보는, 일본 레스토랑 '카부키 (Kabuki)' 이용후기 (0) | 2025.04.26 |
유럽의 부활절 전통: 달걀 찾기부터 특별한 음식까지 (4) | 2025.04.18 |
유럽의 교통 파업: 역사적 배경과 현대적 의미 (3) | 2025.04.01 |
유럽의 한인 커뮤니티 (Korean community in Europe) 규모와 특징, 주요 연락기관 (1) | 2025.03.27 |